본문 바로가기

역사 그림 사람이야기

[이슈추적]AI의 시대.."4차 산업혁명은 피할 수 없는 숙명" ..유발 하라리의 사피엔스와

<사피엔스>를 읽으면서    나의 관심사는 그래서 ....우리 인류(사피엔스) 는 어떻게 되는건데   어떻게 해야 하는데?  란 화두를  쭉 끼고 있었다. 그런데 유발 하라리는 말해주지 않았다.   내가 못 읽은 건가 . 앞으로의  세상이  , 사피엔스가 어찌 될건지는 우리 몫이란다.  AI와 같은  신에게  도전 하는 것과 같은과학의 발전  변화의 물결을 막을수 없으나 ,  지금 우리가  어찌 하냐가  앞으로의 사피엔스의 운명이란다 .

역사 학자 다운 말이다 .  과거를  통해서 미래의 나를 바라 보는일 .  그게 역사 학자의  일이지. 

<반지의 제왕>을 쓴 톨킨이 언어학과 신화학자인데  결국 언어가 만들어 지고 변화 해가는 과정을 연구하는 고리 타분한 언어 역사학자이라고 할까 .  그런데 우리는   거기서 판타지를 보고 , 뭔가 미래를 보는 느낌을 갖는건 왜 일까.

<"AI가 미칠 영향을 과소평가하면 안 된다. 그것은 우리 인생을 바꿀 것"이라며 "미래사회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사고만이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길">

  슈바프가 말하는 이  논의 라는걸  대단 하게  생각하지 않아도 될거 같다.  인공이지능이 잘 할일 못할일을 생각해보는데서 출발 해보는 거다.   그다음은 그래서 좋은 것  않좋은 것 을 생각해는거다 .   예를 들면 벽 전체 타일을 붙이긴  잘해도 금간 하나를 떼어내 교체 하는건   사람이 더 잘하겠지.!    아주 맛있는   수퍼 가판대 음식은  만들어도  나만의   레시피로 만든 음식은 내가   덜 잘 하겠지. 

********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
"기술혁신, 기존 시스템 완전히 뒤바꿀 것"
변화에 주도적·선도적 변화 필요

[아시아경제 김민진 기자] #어느 미래. 자녀가 없는 부부가 인공지능(AI) 아동로봇을 구매(?)했다고 가정하자. 하지만 이 아동로봇을 학대했다면…. 자의식을 가진 AI 로봇을 정서적ㆍ법적으로 우리는 어떻게 받아들일 것인가.

미래학자이자 과학철학자인 그레이 스콧 시리어스원더미디어 대표는 "미래의 사법제도는 새로운 사건에 반응할 수밖에 없다"며 "인류의 미래는 기계에 의해 구현될 것"이라고 했다.
 
법원행정처 주최로 18일 서울 서초동 대법원에서 열린 '2016 국제법률 심포지엄'을 관통한 공통적인 키워드는 '변화'다. '사법의 미래'가 주제였지만 세간의 관심은 '인공지능(AI)'이 가져올 미래와 일찍이 경험해 보지 못한 미래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 것인가였다.

'2016 국제법률 심포지엄'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한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우측)이 백강진 캄보디아 특별재판소 재판관과 대담하고 있다.<사진=법원행정처>
'2016 국제법률 심포지엄'에 기조연설자로 참석한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우측)이 백강진 캄보디아 특별재판소 재판관과 대담하고 있다.<사진=법원행정처>

클라우스 슈바프 세계경제포럼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하고 있는 일만 바꾸는 게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 인간의 본질, 정부와의 관계 등 모든 것을 뒤바꿔 놓을 것"이라고 예견하며 "민첩한 변화의 수용 내지는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슈바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의 파급효과는 우리가 피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닥치기 전에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기존의 관행과 틀을 깨는 파괴적 혁신은 세상을 무서운 속도로 바꾸고 있다. '대전환'은 외면한다고 피해지지 않는 숙명이고, 능동적ㆍ주도적ㆍ선도적으로 그것을 발전시키는 대열에 합류하고 받아들여야 한다는 것이다.
 
'다보스포럼'으로 더 잘 알려진 세계경제포럼의 설립자이자 '4차 산업혁명'의 주창자인 슈바프 회장은 4차 산업혁명과 과거와의 가장 큰 차이로 "쓰나미가 닥친 것과 같은 어마어마할 정도의 속도"를 꼽았다.
 
그는 과거의 기술혁신이 새로운 제품을 내놓은 것이었다면 앞으로의 변화는 체계, 즉 전체 시스템을 완전히 바꾸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우버택시나 에어비앤비와 같은 사례를 예로 들었다. AI와 빅데이터, 로봇의 결합 등 복잡성도 중요한 차이 중 하나로 꼽았다. 이것 역시 전체 생태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대담자로 나선 백강진 캄보디아 특별재판소 재판관은 4차 산업혁명으로 일자리가 없어지고, 오히려 소득 불평등 격차가 심화되는 것이 아니냐고 우려했다. 슈바프 회장은 "1차적으로 일자리가 파괴되고, 2차적으로 새 일자리들이 생겨날 것"이라고 예견했다.
 
그는 "선진국에서도 역량 있는 사람이 뒤처질 수 있고, 일자리가 없을 수도 있다"고 했다. 스위스 태생인 그가 그러면서 예를 든 것이 국민투표에 부쳐졌다가 부결된 스위스의 기본소득과 관련한 논의였다. 이번에는 부결됐지만 20년 정도 지나면 수용될 것이고, 거기엔 4차 산업혁명이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설명이다.
 
'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의 토론자로 참석한 스콧 대표는 "AI가 미칠 영향을 과소평가하면 안 된다. 그것은 우리 인생을 바꿀 것"이라며 "미래사회에 대한 활발한 논의와 사고만이 두려움을 줄일 수 있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AI 발달에 대한 긍정적 전망을 하는 대표적인 전문가인 오렌 에치오니 앨런인공지능연구소장이 우리를 안심시켰다면, 루이빌대 사이버보안연구소장인 로만 얌폴스키 교수는 AI의 위험성을 경고하는 역할을 맡았다.
 
에치오니 소장은 "미래에 놀랄 만큼 많은 변화가 일어나겠지만 그 미래는 생각하는 것보다 오래 걸릴 것이고, 우리를 파괴하기보다는 더 많은 힘을 줄 것"이라고 했다. 반면 얌폴스키 교수는 동물실험이나 인간복제 등을 예로 들며 엄격한 통제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얌폴스키 교수는 "단기적 AI와 5~10년 후에 접할 수 있는 AI, 인간과 경쟁하기 위한 AI는 각각 차이가 있다"면서도 "안전조치가 없고, 통제 방법을 모르는 상황에서 개발하는 것은 비윤리적이며 재앙"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자동화된 판사는 절대로 가까운 미래에 오지 않을 것"이라며 청중들을 안심시켰다. 혁명적 변화와 두려움은 거스를 수 없는 숙명이다.

김민진 기자 enter@asiae.co.kr

 
저작자 표시컨텐츠변경비영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