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켄 베인 저/이영아 역 | 와이즈베리 | 원서 : What the Best College Students Do
**
내가 산 책을 두 딸이 먼저 읽고 좋단다 .
수험 공부 방식에 약해서 스스로가 뭔가 잘못하는게 아닌가 했는데 , 이책을 읽고 내 방식이 괜찮은 거구나 하고 자신 감을 얻은 듯 .
내게 재미 있었던 부분은 뇌에 대한 이야기다 . 뇌가 하는 일, 즉 어떻게 활동하는 지에 대한 것이다.
우리에게는 인간의 뇌 , 악어의뇌 , 쾌락의 뇌가 있단다 .
악어뇌는 아몬드처럼 생긴 편도체로 조건 반사 비슷한 기능을 한다. 쉽게 말하면 <자라보고 놀란 사람이 솥뚜껑 보고 놀란다>거나. 시댁 스트레스가 있는 사람이 시금치 시짜만 들어도 머리가 아픈 거나 ,시험 때가 되면 배가 아픈 것등이 여기에 해당 된다 .즉 사실과 상관없이 머리가 전에 경험 했던 것과 비슷한 상황이라 여기고 미리 몸이 행동하는 거다.
쾌락 뇌는 두개골 속에 있는 것이 아니라 인생에서 큰 즐거움을 찾는 회로 같은 것이다 .
이뇌를 잘 쓰는 사람의 비결은 종착역 보다는 여행 자체를 즐기는 것이다 .결과에 연연 하지 않고 창작 과정에 몰두 한다
이럴경우 일과 인생을 같이 즐길수 있다 . 실제 내가 보아도 뭔가를 잘 하는 사람의 대부분은 그걸 정말 놀이처럼 즐기더라
쾌락 뇌라는 말을 쓰지는 않았지만 , 슈트어트 브라운이 쓴 <플레이 play>도 바로 이런 이점을 이야기 했다.
인간의 뇌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뇌다. 이뇌는 늘 같은 상태로 활동 하는게 아니라 무심 (mindlessness), 전념(mindfulness)두가지로 중 한가지 상태로 일한단다.쉽게 말하면 전념해서 즉 머리와 마음을 쓰면서활동 하던지 , 건성(무심)의 상태에서 기계적 한단다.
무심의 상태일때는 무의식적으로 움직인다 .생각할 필요 없이 무의식적으로 움직인다 .아는 길을 걷거나 이미 숙달 되어 있는 일을 할때이다 .
전념 상태는 어떤 대상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다 . ,어떤 개념, 사건 물체에 전념한다는 것은 빤히 쳐다보거나 외우는 것이 아니라 ,내가 거기에 어떻게 반응 하는지 ,내가 그것을 얼마나 알고 싶어 하는지,그 대상을 의식적으로 생각하는 것이다.
대상을 완전히 새로운 방식으로 보고 ,사용하고 이해하고 다른것들과 비교 대조해보고 ,내 생각을 뒤집어 놓을 지도 모를 미지의것이 있지 않을 가 항상 궁금 해 하는 것이다
그래서 전념 하는 사람은 새로운 범주를 끊임 없이 창조하고 ,새로운 정보를 꺼리낌 없이 받아들이며 ,다양한 시각으로 세상을 바라본다. 즉 공부하는 것이다 .
이런 뇌의 메카니즘을 이해 하면 우리는 우리의 뇌를 전념 상태로 만들 수도 있고 , 무심한 상태로도 만들수 있다. 자신이 원하는 것에 따라 그냥 지나칠일은 무심으로 , 배우거나 해야 할일은 전념으로 갈수가 있다는 것이다.
또 악어 뇌 때문에 생기는 스트레스나 문제를 극복할수도 있다 해야할 일에서 재미있는 구석을 찾아 하다 보면 그속에서 재미를 느껴서 자꾸 하고 싶어진다 요게 쾌락 뇌가 발동 해서 이다.
사물을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훈련도 재미 있는 대목이다 .즉 물체를 리듬 ,선 , 움직임 ,실루엣과 소리 ,공간으로 보는 연습이다 . 한 대상을 택해 그 선을 탐구하고 그것을 리듬으로 확장해 결국엔 하나의 인물과 대화를 창조하는 진기한 놀이다 .그러면서 정신이 어떻게 작용하고 대상을 어떻게 이해 하는 지 ,어떻게 하면 완전히 다른 시각으로 이해 할수 있는 지 즉 전념하는 법도 배우게 하는 것이다 . 나도 혼자 해보니 ,재미 있다 .이 놀이는 어린 아이들과는 참 잘 할수 있는 놀이 다.
어린이들은 무엇이건 머리(상상)로 만들어 낼수 있기 때문이다.
창의적 으로 산다는 것은 꾸준히 공부를 하는 것이고,, 공부를 계속하는 힘은 스스로가 문제를 찾고 답을 찾아하는 ㅓ
그러면 창의적인 사람이 될려면? 관심 있는 분야를 뇌가 전념 상태로 활동 하게 하고 이 과정을 통해서 자신스스로를 이해하게 되고 , 자신의 능력을 통합하고, 뒷 받칩 할수 있도록 자발적으로 훈련 시키면 될수 있단다.
내 생각에 일을 즐기면 성공은 몰라도 본인이 지루하지 않고 즐겁게 사는 건 확실 하다.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계사 편력 1 아소카왕 (2) | 2013.07.21 |
---|---|
파이 이야기 - Life of pi - (2) | 2013.06.22 |
플레이,즐거움의 발견 (0) | 2013.06.15 |
네루의 <세계사 편력 > 중에서 - 이성계 (2) | 2013.06.13 |
세계사 편력 (1) | 201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