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야기
디지털 시민의진화
파란 바람의 전설
2013. 11. 18. 13:24
임문영
요즈음 은 직접 만나서 나누는 대화 보다는 사이버로 컴퓨터나 모바일을 통해서 만난다.특히 젊은 세대는 ....
대화라고 말하긴 좀 그렇지만 ,얼굴 본적 없는 사람과도 쉽게 커뮤니케이션 한다.
SNS라 불리는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조목 조목 분석 해서 정리 한 책이다.
사이버 세상은 모르는 사람과도 쉽게 친구가 되기도 하지만 아울러 사이버 공간에서는 한번 실수를 하면 ,설사 본인이그걸 지우더라도 평생 따라다닌다는 점이 특징이다 .
책에 비친 사이버 세상이야기를 보면서, 한번의실수가 주홍글씨처럼 큰 걸림돌이 되는건
내 생각엔 이건 좀 너그럽지 못한게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번 낙제 했다고 공불 못하는건 아니지 않는가.
실수에 대해 좀 너그러운 세상 . 실수를 통해 더 나아지는 세상이 되려면 ,
실수가 발전의 디딤돌이될려면, 그걸 우린 지울수는 없지만, 그후에 이루어진 더 많은 흔적을 통해 만들어진 지금을 바라 보아야 하지 않을까.
사람에 대한 평가가 한 점에 머물러 있는것이 아니라,설사 실수라도 전체속에서 무슨 의미이고 또 어떻게 변해 왔고 그래서 지금은 ! 앞으로는 !을 읽어 내는 큰 시선이 필요하지 않을 싶었다.
저자도 사이버 세상의 나아져 갈려면, 책임감 과 관용을 가진 디지털 시민의 많아져야 한다고 한다.
요즈음 은 직접 만나서 나누는 대화 보다는 사이버로 컴퓨터나 모바일을 통해서 만난다.특히 젊은 세대는 ....
대화라고 말하긴 좀 그렇지만 ,얼굴 본적 없는 사람과도 쉽게 커뮤니케이션 한다.
SNS라 불리는 소셜 커뮤니케이션을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예를 들면서 조목 조목 분석 해서 정리 한 책이다.
사이버 세상은 모르는 사람과도 쉽게 친구가 되기도 하지만 아울러 사이버 공간에서는 한번 실수를 하면 ,설사 본인이그걸 지우더라도 평생 따라다닌다는 점이 특징이다 .
책에 비친 사이버 세상이야기를 보면서, 한번의실수가 주홍글씨처럼 큰 걸림돌이 되는건
내 생각엔 이건 좀 너그럽지 못한게 아니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한번 낙제 했다고 공불 못하는건 아니지 않는가.
실수에 대해 좀 너그러운 세상 . 실수를 통해 더 나아지는 세상이 되려면 ,
실수가 발전의 디딤돌이될려면, 그걸 우린 지울수는 없지만, 그후에 이루어진 더 많은 흔적을 통해 만들어진 지금을 바라 보아야 하지 않을까.
사람에 대한 평가가 한 점에 머물러 있는것이 아니라,설사 실수라도 전체속에서 무슨 의미이고 또 어떻게 변해 왔고 그래서 지금은 ! 앞으로는 !을 읽어 내는 큰 시선이 필요하지 않을 싶었다.
저자도 사이버 세상의 나아져 갈려면, 책임감 과 관용을 가진 디지털 시민의 많아져야 한다고 한다.